건축을 ‘넓게, 멀리, 다르게’ 공부하는 탈건학부가 여섯 번째 학기를 시작합니다. 이번 여름방학에는 다섯 개의 수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꾸준히 이어지며 확장하고 있는 <건축 이론 강의>에서는 매너리즘을 중심으로 로지에, 피라네시, 콜린 로우, 만프레도 타푸리를 공부합니다. 우리 건축의 역사를 더 촘촘하게 쓰고 있는 <현대 건축사 강의>에서는 ‘건축’의 번역, 조선의 모더니즘, 우리 주거의 역사, 한국 건축의 지역성을 공부합니다. 탈건학부의 시조 격인 <건축 큐레이팅 원데이스쿨>에서는 올해 열리고 있는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의 여정 속 큐레이터들의 실무적 역할을 소상하게 디브리핑합니다. 점점 확장, 분화하고 있는 <건축 컴퓨테이션 강의 + 워크숍>에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컴퓨테이션을 바라보고 토론하는 강의와 프로그래밍 입문자를 위한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8월 끝자락에 기다리고 있는 <건축 이론 세미나>에서는 타푸리 선생님의 『구와 미로』의 5, 6장을 독파합니다. 건축의 다양한 영역을 둘러보며 학생 여러분의 진로을 탐색, 확장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 🤖교학처 |
|
|
✏️
건축 이론 강의 3
매너리즘, 로지에, 피라네시, 로우, 타푸리 |
|
|
불확실성의 시대, 새로운 가치를 정립하기 어려운 요즈음 많은 건축가들이 매너리즘에 주목합니다. 쉽게 손에 잡히지 않는 매너리즘을 둘러싼 담론의 지형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8세기 중엽 건축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자 한 로지에와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피라네시의 서로 다른 입장을 통해, 건축을 둘러싼 두 가지 벡터를 추적해보려 합니다. 이어 모더니즘 전체를 매너리즘으로 해석한 콜린 로우, 피라네시를 아방가르드의 원역사로 재조명한 만프레도 타푸리를 살펴봅니다. 서로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주요 개념과 대표적인 비평가들의 이론을 꼼꼼히 읽어가면서 현재의 실천을 평가하는 틀을 다듬어보는 시간이기를 희망합니다.
- 2025년 6월 30일 - 7월 10일
- 월, 목. 오후 5:00-7:00
- 대상: 대학(원)생
- 구성: 강의+문답
- 강사: 박정현
|
|
|
수업 계획
- 매너리즘이라는 문제
- 로지에와 피라네시
- 현대와 매너리즘: 콜린 로우
- 현대와 아방가르드: 만프레도 타푸리
|
|
|
✏️
현대 건축사 강의 3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공동주최 |
|
|
여러 건축사 수업이 건축대학에 개설되어 있지만, 해방 후 한국 현대 건축을 본격 조명하는 강의는 드뭅니다. 본 강의는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5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한국 현대 건축의 역사를 촘촘하게 다룹니다. 여름학기에는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축’이라는 말과 개념의 기원에서부터, 일제강점기 조선의 현대적 건축가들, 농촌에서 도시로 빠르게 옮겨간 주거의 역사, 그리고 길게 이어져 있는 한국 건축의 지역성에 대한 이야기를 공부합니다. 몇몇 예외적 인물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기존 서술에서 한 걸음 더 물러나 통시적 시선으로 각 주제를 조명합니다.
- 2025년 7월 11-18일 (4회)
- 월, 수, 금. 오후 5:00-7:00
- 고려대학교 신공학관 B-104
- 대상: 대학(원)생
- 고려대 학생은 학과로 별도 신청
- 강사: 이강민, 김현섭, 도연정, 최원준
|
|
|
수업 계획
- 이강민 - 건축과 일본이라는 번역자
- 김현섭 - 고유섭, 박동진, 박길룡, 홍윤식: 일제강점기 조선의 서양 근대건축운동 인식
- 도연정 - 한국 주거 성립의 특성: 농촌주택에서 아파트까지
- 최원준 - 한국 현대 건축의 지역성 모색: 주류와 지류
|
|
|
✏️
건축 큐레이팅 원데이스쿨
큐레토리얼 로그: 전시의 여정 |
|
|
건축 전시에서 큐레이터의 다양한 역할과 여정을 제19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전시 기획진으로 참여한 CAC 일원들의 실천을 통해 연구자, 프로듀서, 공간 제작자로 분한 건축 큐레이터의 면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아카이브 연구, 도록 편집, 영상 제작, 전시 디자인과 설치 등 전시 구성 전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건축물의 삶과 그것에 의미를 덧붙이는 큐레이팅 작업에 관해 논의합니다. 이번 강좌가 비평적 연구 프로젝트로 작동하는 전시의 역할과 가치에 공감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합니다.
- 2025년 7월 12일 (종일)
- 토요일 오전 10:00 - 오후 6:00
- 대상: 대학(원)생 및 관련 분야 실무자
- 구성: 강의 + 토론 + 문답
- 강사: 정다영, 곽승찬, 김희정, 정성규
|
|
|
수업 계획
- 10:00-10:30 오리엔테이션
- 10:30-12:00 부가물로서의 큐레이팅: 건축을 우화적으로 말하기 - 정다영
- 12:00-13:00 점심(각자)
- 13:00-14:00 연구자로서 큐레이터: ‘다른 리서치’의 가능성 - 곽승찬
- 14:10-15:30 프로듀서로서 큐레이터: 기록에서 상상으로, 전환하는 서사의 여정 - 김희정
- 15:40-17:00 공간 제작자로서 큐레이터: 전시 공간의 큐레토리얼 전환 - 정성규
- 17:00-18:00 종합 토론, 질의 응답
|
|
|
이번 강의를 대담 형식으로 준비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전통적인 학제와 설계사무소를 경험하였으나, 비전통적인 커리큘럼을 생산하며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시점에 건축을 배웠고, 다른 시기, 다른 기술로 프로그래밍을 건축에 적용해왔습니다. 이번 대담은 이 둘의 경험과 관점을 비교해봄으로써 이 분야에 대해 입체적인 관점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 건축과 컴퓨테이션에 대한 관점을 ‘디지털 시대 위기에 처한 건축’에서 확장해 건축교육까지 확대해보려고 합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과 건축을 가르치는 방식과 이를 실무와 연결하는 방법을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 2025년 7월 31일
- 목요일 오후 7:30-10:0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대상: 관심 있는 누구나
- 구성: 발제+대담+토론
- 강사: 서종관, 이신후
|
|
|
✏️
건축 컴퓨테이션 워크숍
건축과 프로그래밍 입문 |
|
|
AI가 발전하는 방향은 지식이 없는 사람을 지식이 있어 보이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는 쪽입니다. 프로그래밍 지식을 갖춘다는 것은 AI를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힘입니다. 그리고 어쩌면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릴 힘일지도 모릅니다. 이번 워크숍의 목표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없는 참가자가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이해하고,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Rhino + Grasshopper + Python 환경 안에서 실행해보고, 좀더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구축하는 사고를 깨우치게 하는 것입니다.
- 2025년 8월 11-21일
- 월, 목. 오후 7:30-9: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대상: 관심 있는 누구나 (선발을 거칩니다.)
- 구성: 과제+세션+실습
- 강사: 이신후
|
|
|
워크숍 계획
- 파이썬 기초 실습 1: 프로그래밍 기초, 엑셀 자동화하기, csv 이해하기
- 파이썬 기초 실습 2: 파이썬과 라이노 연결하기, 웹 데이터 자동화하기, json 이해하기
- 건축과 프로그래밍 1: SHP-라이노 데이터 변환하기
- 건축과 프로그래밍 2: Space Syntax 구현하기
|
|
|
✏️
건축 이론 세미나
만프레도 타푸리 『구와 미로』 읽기 4 |
|
|
만프레도 타푸리의 『구와 미로』를 2년여에 걸쳐 읽고 있습니다. 한때는 난해해서 읽지 못했고 지금은 시효가 지났다며 읽으려 하지 않는 책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타푸리만큼 자본주의와 건축의 관계,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의 의미에 천착하고 건축 역사와 비평 쓰기가 무엇인지 고민한 이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들은 여전히 우리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꼼꼼한 독해는 타푸리를 따라 가기 위해서만은 아닙니다. 그가 만든 미로 속에서 길을 잃고 다시 길을 찾음으로써 우리만의 다른 출구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입니다. 이번 여름에는 5장 “‘사회주의 도시를 향해: 소련, 1917-28”과 6장 “새로운 바빌론: ‘노란 거인’과 미국주의의 신화”를 함께 읽습니다.
- 2025년 8월 26일 - 9월 5일 (4회)
- 화, 금요일 오후 7:30~9: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및 관심 있는 전공자
- 구성: 텍스트 읽기 + 강독 + 토론
- 강사: 박정현
|
|
|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hello@junglim.org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8길 19 ☎ 02-3210-4990~3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