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로』 2호는 일본을 다룹니다. 일 년에 세 번 발행하는 작은 잡지에서 어느 한 국가의 건축을, 시기나 인물, 최신 흐름 등으로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특집 주제로 삼는 것은 무리한 일입니다. 그러나 지금 이 책을 든 독자가 한국 건축계에 몸 담고 있다면 ‘일본’ 건축은 미국 건축이나 베트남 건축, 멕시코 건축, 프랑스 건축보다 훨씬 잡지의 주제로 적합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지금 한국 건축계가 묻기에 일본은 다른 국가보다 초점이 훨씬 더 분명하게 잡히는 대상입니다. 일본은 한국 현대 건축의 가장 큰, 동시에 가장 감추어진, 또는 감추고 싶었던 타자였습니다. 『미로』 2호는 이 타자를 소환합니다. 극히 일부를 무척 산만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 말이지요. architecture가 建築(건축)으로 번역된 연유, 일본이 세계를 보는 창이자 당면한 과제의 모범 답안이었던 시절을 역사적으로 추적합니다. 영국과 독일의 유명 건축가들은 일본의 전통건축에서 모더니티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의견은 다시 일본 현대 건축에 대한 평가에 반영되곤 했습니다. 이 상호작용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글들도 있습니다. 이번 호의 또 다른 한 축은 지금 한국 건축가들이 바라보는 일본 건축입니다. 예전의 건축가들이 형태와 재료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요즘 건축가들은 완전히 다른 것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도쿄나 오사카에서 대형 건축 관련 전시가 열리면 많은 한국 건축인들이 짐을 꾸립니다. 이럴 때면 과천이나 삼청동보다 롯폰기나 우에노에서 더 자주 한국의 건축인들을 만나곤 하지요. 예전 같은 시차는 사라졌지만, 일본 건축은 가장 가까운, 그리고 가장 탁월한 이웃입니다. 언젠가 이번 호에서 다루고 싶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싣지 못했던 주제로 다시 일본을 다룰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
차례
→ 『미로 2: 일본』을 엮으며 → 도쿄대 출신의 두 건축가, 김수근 vs 박춘명 / 조현정 → 울산 도시계획과 마쓰이 다쓰오 / 이연경 → 한국 산업디자인, 일본을 경유해 동시대와 조우하다: 1980년대 중후반 두 개의 장면 / 박해천 → 일본 건축의 근본들 / 브루노 타우트 / 박정현(번역) → 뉴 브루탈리즘과 일본 건축의 이미지 / 전태규 → 발견된 전통 / 김기원 → 건축과 일본이라는 번역자 / 이강민 → 고유섭, 박동진, 홍윤식, 그리고 박길룡: 일제강점기 서양 근대 건축의 번역과 수용 / 김현섭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고재협 → 매우 개인적인 업역의 변화: 일본이라는 거울 / 박창현 → 두 개의 세계를 겹쳐놓고 보면 / 이해든, 최재필 → 현재 일본 건축의 흐름 / 임태병 → 산업으로서의 일본 건축 / 이양재 → 불확실한 시대에서 건축을 묻다: 마츠무라 준의 『건축하지 않는 건축가』 서평 / 민성휘 → 일본 건축가들의 글쓰기 / 임태희
|
|
|
건축과 일본이라는 번역자
- 이강민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건축’을 번역한 나라로, 이 과정에서 ‘건축’의 개념과 ‘건축가’의 지위를 새롭게 정립하려 했습니다. ‘건축가’라는 호칭은 예술가로서의 위상을 부여했지만, 제도적 자격 요건을 담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건축사’라는 명칭이 또 도입되었습니다. 한편 ‘건축’은 이미 실천적 행위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었기에, ‘건축’과 ‘건축가’는 느슨하게 연결된 독특한 개념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이러한 번역어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그 출발점에 있었던 이토 추타의 사유를 소개하며, 일본의 논의가 한국에 끼친 영향도 간단히 덧붙이고자 합니다.
- 2025년 5월 15일 목요일 오후 7: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구성: 강의와 문답
|
|
|
현재 일본 건축의 흐름
- 임태병
일본 건축의 큰 특징 중 하나는‘세대’와 ‘계보’에 관한 비평과 논의가 매우 활발하다는 점입니다. 이런 특징은 장점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지만, 그동안 일본 건축계는 세대와 계보를 바탕에 두고 주류와 비주류, 변화하는 것과 바뀌지 않을 것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고 다양한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나 분투해왔습니다. 그리고 세대별로 그 시기에 맞는 독특한 전략과 실천을 통해 세계 건축계에 독자적인 족적을 뚜렷히 남겼습니다. 지금 일본의 6, 7세대(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 사이에 출생한) 젊은 건축가들은 하드/소프트의 경직된 관계가 아니라, 플랫폼/콘텐츠의 유연한 관계로 건축을 새롭게 해석하기 시작한 듯 보입니다. 이에 최근 주목할 만한 경향을 ‘현재 일본 건축의 흐름’이라는 주제로 가볍게 일별해보고자 합니다.
- 2025년 5월 22일 목요일 오후 7: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구성: 강의와 문답
|
|
|
'일본'이라는 한국 산업디자인의 타임머신
- 박해천
한국의 산업디자인은 1980년대 일본의 디자인을 모방하며 특별한 전환기를 맞이했습니다. 본 강연은 1980년대 중반 일본 디자인이 고도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문화적 자신감을 강력히 표출하던 장면에서 출발합니다. 이어 한국으로 시선을 돌려 국내 가전업체들이 1990년대에 들어 '생활자'와 '라이프스타일' 개념을 도입하고 본격적으로 '한국형 가전'을 개발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한국 산업디자인이 단순히 일본 제품의 형태적 모방에 머물지 않고, 일본 디자인 전략의 방법론적 전유를 통해 국내 중산층 소비문화의 다양한 경향들과 적극 조우하고 마침내 그 나름의 동시대성을 획득해 가는 모습을 조명합니다.
- 2025년 5월 28일 수요일 오후 7: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구성: 강의와 문답
|
|
|
옆집 라디오
- 이재민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쌓이는 감각이 있습니다. 친숙한 듯 낯선 이미지와 소리가 겹쳐 만들어낸 풍경입니다. 유년의 대중문화와 지금의 디자인이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을 따라가며, 일본과 한국, 이 가깝고도 먼 두 문화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가볍게 짚어봅니다.
- 2025년 6월 4일 수요일 오후 7: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구성: 강의와 문답
|
|
|
브루탈리즘, 뉴 브루탈리즘 그리고 일본
- 전태규
본 강연에서는 오늘날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브루탈리즘 건축 혹은 브루탈리스트 스타일의 기원이 되는, 1953년 이후 영국에서 시작된 뉴 브루탈리즘 건축의 실천과 비평, 그 역동적 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레이너 밴함에 의해 국제적으로 확산된 브루탈리스트 스타일의 건축, 그리고 앨리슨과 피터 스미슨 부부가 ‘양식적인 게 아니라 윤리적’이라 변호했던, 밴함의 비평과는 구별되는 그들 건축의 본질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나아가 초기 브루탈리즘 담론의 틈새를 ‘일본 건축의 이미지’를 통해 들여다보면 밴함과 스미슨의 브루탈리즘을 더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나눕니다.
- 2025년 6월 11일 수요일 오후 7:30
-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구성: 강의와 문답
|
|
|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hello@junglim.org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8길 19 ☎ 02-3210-4990~3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