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다시 넓게, 멀리, 새롭게 펼치기 위해 시작한 탈건학부가 세 번째 학기를 시작합니다. 이번 겨울에는 모두 여섯 개의 수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말 운명 같은 만남으로 신설된 컴퓨테이션 수업, 학문에 유효기한 따위는 없다는 신념으로 튕겨 나온(스핀오프된) 이론 수업, 햇수로는 혼자 6년 차에 접어드는 큐레이팅 수업이 12월(하나는 심지어 11월말)에 먼저 스타트를 끊습니다. 1~2월 달력도 이미 역사, 이론, 미디어 수업 들이 빈칸을 다투며 채우고 있습니다. 가려져 있던 건축의 다양한 영역, 저마다의 뿌리와 줄기가 비집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2024년이 오기도 전에 수업을 시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연초 두 달 치 달력으로는 이들을 다 담을 수 없어서입니다. 빽빽한 툰드라 침엽수림 같은 겨울학기, 마음껏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
|
|
✏️
건축 컴퓨테이션 워크숍
Automating Architecture Services
& Architecture to Data Structure with Python
|
|
|
건축설계 자동화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뗐습니다.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건축가 각기 다른 분야에서 모인 사람들이 맹인 코끼리 만지듯 건축설계 분야를 더듬으며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한편, 건축계에서는 자동화의 대상인 '설계'에 대해 저마다 다른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변화는 필연적이고, 파괴적이기보다 상호보완적일 것입니다. 이 강의가 설계 자동화에 대한 막연한 안개를 걷어내는 시작점이길, 나아가 기술과 건축이 협력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논의로 발전되길 바랍니다.
- 강의: 2023년 12월 12일(화) 오후 7:00
- 워크숍: 2024년 1월 4~15일(월,목)
- 대상: 대학(원)생
- 구성: 강의 (+워크숍)
- 강사: 이신후
|
|
|
워크숍 커리큘럼
- 건축을 데이터화하기: 프로그래밍이란 / python이란 / 설계 자동화란 / 워크숍 OT
- 건축화된 데이터 활용하기: 데이터-건축 간 전환의 영역 / pandas 패키지
- 설계 자동화 맛보기: 설계 자동화 / 면적표 만들기와 일자형 방 만들기
- (강의) 함께 자라기: 설계 자동화의 확장 / 프로그래밍 공부의 갈래들
워크숍
*개론 강의 후 참가희망자를 받아 4~5인 소그룹으로 선발하여 진행됩니다.
*2주 동안 풀타임으로 프로그래밍에만 집중할 의향이 있는 학생만으로 모집합니다.
*각 회차는 [시연-강의-실습]으로 진행됩니다.
*개인 노트북을 지참해야 하며, 라이노, 그라스호퍼, 파이썬, 슬랙을 사용합니다.
|
|
|
✏️
건축 이론 세미나
만프레도 타푸리의 『구와 미로』 읽기 1 |
|
|
건축역사학자이자 비평가인 만프레도 타푸리의 『구와 미로』(The Sphere and the Labyrinth)를 함께 읽습니다. 타푸리만큼 자본주의와 건축의 관계,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의 의미에 천착하고 건축 역사와 비평 쓰기가 무엇인지 고민한 이는 없고, 이 질문들은 여전히 우리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꼼꼼한 독해는 타푸리를 따라 가기 위해서만은 아닙니다. 그가 만든 미로 속에서 길을 잃고 다시 길을 찾음으로써 우리는 다른 출구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입니다.
- 2023년 11월 27일 ~ 12월 21일
- 월, 목 오후 7:00 (7회)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 진행: 박정현
- 구성: 텍스트 읽기 + 강독 + 토론
|
|
|
수업 계획
- The Sphere and the Labyrinth(Cambridge MA: MIT Press, 1987)을 함께 읽습니다.
- 일방향 강의가 아니라 함께 읽고 토론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건축 역사와 이론에 대한 최소한의 선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 강독 자료와 참고 문헌은 세미나 진행자가 제공합니다.
- 완독을 목표로 이후에도 세미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
|
|
2019년 포럼 형식으로 처음 열렸던 건축큐레이팅워크숍(CAW)이 2023년부터 ‘탈건학부’의 정규 수업으로 자리했습니다. 2024 겨울학기 원데이스쿨은 2021년과 2022년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건축 큐레이팅’의 결과인 ‘전시’와 그것이 펼쳐지는 힘의 자장에 주목합니다. 뮤지엄 제도 안밖에서 건축을 매개로 벌어지는 큐레이토리얼 활동을 다양한 사례 탐구와 함께 살펴봅니다.
- 2023년 12월 2일(토) 10:00~18: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및 관련 분야 실무자
- 기획 및 강의: CAC
- 구성: 강의 + 토론 + 네트워킹
- 2023 여름학기 원데이스쿨과 동일합니다.
|
|
|
커리큘럼
- 건축 전시의 제도적 문법 / 정다영
- 건물과 건축사이, 큐레이팅 대상으로서의 건축 / 김희정
- 미술관 밖 건축 큐레이팅 실천들 / 정성규
- 사례 탐구: 《젊은모색2023: 미술관을 위한 주석》 /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
|
|
|
195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한국 현대 건축의 역사를 촘촘히 다루면서 주요 쟁점을 발굴해 드러내고 역사적으로 평가합니다. 몇몇 예외적 인물과 건축물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기존 논의들을 한 걸음 떨어진 새로운 시선으로 보충, 확대하는 이 강의는 20세기 한국 현대 건축사를 다시 쓰는 밑바탕이 될 것입니다.
- (파트1) 2024년 1월 3~24일
- (파트2) 2024년 1월 31일 ~ 2월 21일
- 수요일 오후 5:00 (총 8회)
-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대상: 대학(원)생
- 강사: 강난형, 김현섭, 도연정, 박정현, 이연경, 최원준, 현명석
- 구성: 강의 + 문답
|
|
|
건축 이론의 핵심 텍스트를 미학과 철학 등 관련 텍스트들과 나란히 읽습니다. 이 독해는 건축 이론이 딛고 서 있는 토대를 밝히고, 보편적이라고 여겨져 온 이론의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이번 겨울학기에는, 1)포스트모던과 지역주의, 2)유형학과 자율성, 3)자율성과 비판성, 4)다이어그램과 비참조성을 강의합니다.
- 2024년 1월 9~30일
- 화요일 오후 5:00 (4회)
-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대상: 대학(원)생
- 강사: 박정현
- 구성: 강의 + 문답
|
|
|
건축을 중심으로 이야기(story)를 생산하는 수업입니다. 글쓰기(writing), 취재(reporting), 편집(editing), 발행(publishing)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생산의 실제를 개념적으로 익히고 실습합니다. 취재, 편집, 발행은 모두 글쓰기를 바탕으로 합니다. 본 워크숍에서는 글쓰기와 원고화, 글쓰기에 수반되는 작업, 쓴 글을 다듬고 내보내는 일을 실습, 강의, 피드백을 통해 실질적으로 배웁니다.
- 2024년 1월 18일 ~ 2월 8일
- 목요일 오후 5:00 (4회)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 강사: 박세미, 심미선, 김상호
- 구성: 사전과제 + 강의 + 과제리뷰
|
|
|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hello@junglim.org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8길 19 ☎ 02-3210-4990~3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