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림학생건축상 2024 사전 포럼
공존을 위한 실천 |
|
|
정림학생건축상 2024는 ‘모두의 집: 내일의 지구를 위한 오늘의 건축’을 주제로 기후 위기 시대의 공존을 위한 건축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합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가 미래를 향한 상상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주변을 살피어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생각을 확장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공모전이 새로운 지식의 초석을 놓는 데 기여하고 함께 연구하는 장으로서 역할 하기를 목표하는 만큼, 사전 포럼 ‘공존을 위한 실천’을 마련하였습니다. 건축 안팎에서 당면 의제를 실천하고 있는 이들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모두가 함께 사는 환경과 새로운 건축을 꿈꿔보고자 합니다. |
|
|
사전 포럼은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됩니다. 먼저 ‘다시 야생으로: 자연주의 조경과 정원 활동’을 주제로 조경, 정원 분야에서 기후 변화와 생태 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볼 예정입니다. 두 번째 포럼 ‘공존의 환경으로서 집’에서는 집(인공 환경)을 사용하는 주체의 범주를 다시 생각해보고 함께 거주하는 방식을 고민하는 자리를 가져보려 합니다. 마지막으로 건축을 이루는 물질의 생산과 시스템 연구로부터 기후 위기와 건축 디자인 담론 간의 연결고리를 찾는 시도에 주목하여 ‘건축 재료 탐구: 기후 위기와 건축적 대응’을 준비했습니다. |
|
|
사전 포럼은 공모전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주제에 관심 있는 모두에게 열려있습니다. 참가 신청은 포럼앤포럼 웹사이트에서 곧 열립니다. 소셜미디어 채널에서 소식 전할게요! ⌨활자공 |
|
|
사전 포럼 ‘공존을 위한 실천’
1. 다시 야생으로: 자연주의 조경과 정원 활동
- 일시: 2023.10.19(목) 오후 7:30~9: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온/오프라인)
- 발표자: 김현아(마인드풀가드너스 대표), 신준호(연수당 대표)
2. 공존의 환경으로서 집
- 일시: 2023.11.8(수) 오후 7:30~9: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온/오프라인)
- 발표자: 김지현(밭멍 대표), 이지연(동물해방물결 대표)
3. 건축 재료 탐구: 기후 위기와 건축적 대응
- 일시: 2023.11.23(목) 오후 7:30~9: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온/오프라인)
- 발표자: 윤정원(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혜정(국민대학교 교수)
* 주제설명회가 2023.11.29(수)로 연기되었습니다. 일정 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10여 년 전 셰어하우스라는 새로운 주거 형태가 국내에 등장했습니다. ‘혼자이면서 함께 사는’, ‘합리적 비용으로 누리는 풍요로운 생활’, ‘소유 대신 공유하는 즐거움’, ‘협력과 공존의 지역 공동체’ 같은 수식어를 등에 업고, 가시적인 통계로 치솟기 시작한 1인 주거와 때마침 시작된 공유경제, 공공재, 협동조합 등의 새로운 사회적 도구들과 맞물려 붐업되었습니다.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셰어하우스는 무브먼트 차원에서 비즈니스 차원으로 포지션을 옮겼고, 최근에는 코리빙하우스라는 네이밍으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새로운 유형이 쉽게 등장하기 어려운 주택 영역에서 1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이 정도 변화는 격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주거 생활에 누적, 압축되어온 변화의 요구가 컸던 반면, 현실 속 주택 형태는 오랫동안 그것에 응답하지 않은 채 답습만 되풀이해왔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새로운 실험적 유형이 기업화된 사업 모델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무엇이 달라졌는지, 무엇이 그 변화를 가능하게 이끌었는지, 잃어버리거나 놓친 것은 없는지, 새롭게 발견하거나 얻은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 나눠봅니다. 🤖커피머신 |
|
|
- 일시: 2023.10.12(목) 오후 6:00~8:00
- 장소: 연세대학교(신촌) 제3공학관 C040 (*2,3,4공학관 지하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 발표자:
김하나(서울소셜스탠다드 공동대표) 조성익(홍익대학교 교수) 나루세 유리(나루세이노쿠마 건축설계사무소 공동대표) 이노쿠마 준(나루세이노쿠마 건축설계사무소 공동대표)
- 참가비: 무료
- 공동기획: 박창현, 염상훈
- 공동주최: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정림건축문화재단
|
|
|
‘나쁜 건축’이란 주제로 구성된 올해 새싹꿈 과정의 수업이 하반기에도 오픈합니다. 10월 14일부터 진행되는 새싹꿈 과정에서 초등학생 친구들과 신나는 프로그램들을 하나씩 꿰어낼 예정이예요. <유니버설 디자인>부터 <떠먹여주는 건축>까지 다양한 커리큘럼을 건축학교에서 만나보세요! |
|
|
우리 몸이 쏙 들어가는 1:1 스케일의 구조물을 완성해보는 경험과 더불어, 도시 안에서 이웃과 함께 살아가는 원리와 고민의 지점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새싹꿈 과정은 상반기와 동일하게 정림건축에서 진행됩니다. 신청은 건축학교 웹사이트를 통해 가능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교장 |
|
|
- 일정: 2023.10.14 - 11.4(토요일, 4주 과정)
- 장소: 정림건축 9층 김정철홀(서울 중구 세종대로 12길 12, 해남 2빌딩)
- 교육 대상: 저학년(1-3학년) 36명
고학년(4-6학년) 36명
- 접수: 건축학교 홈페이지에서 선착순 접수
- 본 수업은 상반기와 동일한 커리큘럼이오니 접수에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
|
|
커리큘럼 안내
저학년
10.14 유니버설 디자인 / 공을채(바이블랭크 편집장) 10.21 나쁨의 다양한 얼굴들 / 이지연(문화예술교육 기획・연구자, 스트링피겨) 10.28 이상한 건축가 / 양인성(아틀리에 LOW CREATORs 소장) 11.4 합의된 마을 / 김인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고학년 10.14 나쁜 재료 / 송상은(연구원, 집공방) 10.21 사라지는 길 / 손상호(건축교육기획자) 10.28 떠먹여주는 건축 / 박정인(건축일러스트레이터) 11.4 검은 문 / 류인근(건축가, 요앞건축사사무소 소장)
|
|
|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 hello@junglim.org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