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작들, 안녕하십니까 🔎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
|
|
<당선작들, 안녕하십니까> 올해 세 번째 자리는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RAIM)입니다. 공모 당시 많은 관심을 받았던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은 2019년 2월 국제현상설계 공모에서 터키의 건축가 Melike Altinisik Architects 의 제출안이 당선되었으며, 현재 한창 공사 진행중입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프로젝트 책임건축가 권혁찬 님과 CM 단장 임종률 님을 초대하여 비정형 디자인이 안고 있는 난제와 해결 과정, 주요 시공법, 공사 현황 등에 대해 들어볼 예정입니다. |
|
|
- 일시: 2023년 7월 13일(목) 저녁 7:3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발표자:
권혁찬(위드웍스 A&E 공동대표) 임종률(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CM단장)
- 구성: 발표A(50분), 발표B(30분), 토론·문답(40분)
|
|
|
“Melike와의 첫 만남에서 부터 성공적인 업무 협업 과정, 당선 안이 안고 있는 비정형 디자인의 태생적 난제와 해결과정, 그리고 국내 건축가들에게 던져진 한국 공공건축의 수많은 과제들과 이를 극복해 나가는 위드웍스의 고군분투의 과정들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 권혁찬 |
|
|
“로봇인공지능과학관의 시공 방법에서 기술적으로 중요한 부분들, 공사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풀어야할 난제들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공사 준비와 진행 현황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 임종률 |
|
|
<등장하는 건축가들> 시즌 5가 시작됩니다. <등장하는 건축가들>은 아직 제대로 이야기를 나눠보지 못한 신진 건축가를 초대하여 현장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는 자리입니다. ‘당신은 어떤 건축가입니까’라는 큰 주제 아래, 독립한 계기, 현재 대표작, 지향점과 특기, 구상하는 조직의 모습 등에 대한 질문들을 통해 우리가 잘 몰랐던 새로운 건축가를 함께 알아가고자 합니다. 시즌 5는 7월에 세 팀, 8월에 세 팀, 총 여섯 팀을 모십니다. 7월에는 마니의 전연재 님, ATELIER KHJ의 김현종 님, 라이프의 한지영, 황수용 님을 만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
|
마니(MANI)는 '손'을 뜻하는 이탈리아어로, 건축사사무소 마니는 토탈디자인(Total Design)과 장인정신(Craftsmanship)을 지향합니다. 시설의 역할과 작동에 집중하며 이야기로 구축되는 과정, 몸으로 지각되는 공간, 쓰임으로 완성되는 집을 만들고자 합니다. https://www.studiomani.co.kr
- 일시: 2023년 7월 11일(화) 저녁 7:30
- 장소: 통의동 정림건축문화재단(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초대손님: 전연재(건축사사무소마니 대표)
|
|
|
ATELIER KHJ는 도시 문화와 건축, 인테리어, 가구 그리고 예술 등 경계를 나누지 않고 여러 분야의 문화적 가치를 고민하며, 본질적이고 독창적인 프로세스로 접근하여 퀄리티있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재료와 물질에 대한 궁금증을 끊임없는 연구와 고민을 통해 재해석하고, 연구로 얻은 결과물을 공간 또는 어떠한 형상에 적용하여 더 나은 방향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https://www.atelierkhj.com
- 일시: 2023년 7월 20일(목) 저녁 7:30
- 장소: 통의동 정림건축문화재단(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초대손님: 김현종(ATELIER KHJ 대표)
|
|
|
라이프는 우리 삶(life)과 밀접한 현상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건축이란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 공간 및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적인 생각에 대한 의문이 우리의 삶(life)을 변화시키는 시작이며, 우리가 살아가는 경직된 도시의 풍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건축적 아이디어와 재료 및 기술을 받아들임으로써 그 생각을 실현해 나가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대표작으로 동교동 브레이스, 성수동 S-빌딩, 제주 오형제 펜션, 1+3하우스 등이 있습니다. https://lifearchitects.co.kr
- 일시: 2023년 6월 27일(화) 저녁 7:30
- 장소: 통의동 정림건축문화재단(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초대손님: 한지영, 황수용(라이프건축사사무소 공동 대표)
|
|
|
청소년과 함께 하는 푸른꿈과정이 7월부터 시작됩니다. 지하철 역사마다, 노선마다 다른 단면도와 도면의 내용을 가지고 도면에 대한 기초를 익힙니다. 3차원의 공간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배워보고, 다양한 지하철역사를 답사한 후 모형을 제작해보는 이번 수업을 통해 “이해하기 어려운 도면”에 대한 여러 생각들을 나누어봅니다. 자세한 수업 내용은 건축학교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 hello@junglim.org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