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탐색, 건축신문, 정림학생건축상 소식
소식/ 건축, 전시, 큐레이팅 - 건축신문 23호 출간
건축신문 23번째 책, <건축, 전시, 큐레이팅>이 나왔습니다. 건축의 실천적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엮어내는 큐레이팅 활동은 한국에서 이제 막 진지한 논의가 시작되는 시점에 놓여 있습니다. 이 책에는 건축 큐레이팅의 합의된 어휘를 발굴하기 위한 아홉 편의 글이 실려 있습니다. 건축과 큐레이팅이 만나 만들어지는 중간지대를 살펴보고 그 안에서 촉발되는 의미를 공론화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입니다. 건축을 매개로 일을 만들고 있는 여러 사람들에게 이 책이 각자의 실천 도구로 유용하게 쓰이기 바랍니다.
소식/ '평화 협력 시대, 한강의 비전', 정림학생건축상 2020 주제 발표
2020년 정림학생건축상의 주제는 ‘평화 협력 시대, 한강의 비전’(심사위원: 안창모, 조민석)입니다. 변화하는 한반도 정세 속에서 평화 협력 시대를 전제로 서울이 어떤 새로운 전망을 가질 수 있을지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한강의 기적’, ‘민족의 젖줄’로 불렀던 한강의 현재 모습이 사실 분단의 산물이라는 점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어느새 고급 주거지들로 점령당한 한강변의 풍경을 비평적 시선으로 점검하고, 가까운 미래로 다가온 평화 협력 시대에 달라질 한강의 모습을 건축적, 도시공학적 측면에서 전망해보려 합니다. *9월 27일에 주제의 배경을 조망하는 특별 심포지움이 열립니다. 자세한 일정과 안내는 정림학생건축상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참가신청/ 두 번째 탐색 - 건축가 편, 하반기 시작
예고/ 두 번째 탐색 - 프로젝트 편: 건물의 수명 연장
정림건축문화재단의 건축 포럼 <두 번째 탐색>은 올해 하반기부터 프로젝트 편을 새롭게 시작합니다. 한국 건축의 최전선에 있는 프로젝트를 공론의 장에 올려 그 건축적 성취와 사회적 의미를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건축에도 혁신과 비전, 실험과 첨단의 영역이 엄연히 존재합니다. 거기에서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과 변화의 전조를 읽어내고 논의하고 전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본 포럼의 출발점입니다. 올해는 ‘건물의 수명 연장’이라는 미션을 프로젝트 핵심에 둔 작업들을 살펴보려합니다. 자세한 내용과 일정은 10월에 뉴스레터와 SNS 채널들을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참가신청/ 건축학교 - 토요일 11시, 참가신청 접수 중
대중 건축 강연 ‘건축가와 함께하는 토요일 11시’의 하반기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올해는 새롭게 감각할 수 있는 일상의 공간이라는 주제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건축을 통하여 우리가 어떠한 경험과 감각을 새롭게 조망해볼 수 있는지 최근 관련 프로젝트를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9.7 노경록, 박중현, 이상묵(지랩)
![]()
9.21 임형남, 노은주(가온건축)
![]()
9.28 나은중, 유소래(네임리스)
![]()
10.5 윤승현(인터커드)
참가신청/ 건축학교 - 씨앗꿈 과정, 대기 접수 중
소식/ 건축학교 - 초록꿈 과정, '텐세그리티' 탐험
지난 8월 건축학교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대상의 심화 프로그램 ‘초록꿈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기존의 새싹꿈 과정보다 심화된 본 과정에서는 텐세그리티를 이용하여 직접 다양한 구조체를 만들어보고, 건축 구조의 인장력을 이해하고, 그 조형성을 도시로 확장해봄으로써 건축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해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수업이었습니다.
![]()
텐세그리티 도시 만들기(2주차)
![]()
협력 모형 만들기(3주차)
모집/ 통의동집 입주민 모집 중
셰어하우스 통의동집에서 입주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특별할인중★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
hello@junglim.org |
정림건축문화재단과 건축신문 소식을 정기적으로 전해드립니다.